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냉방 효율 차이는? 여름철 전기요금의 주범 중 하나는 단연 에어컨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에어컨이 판매되고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인버터 방식과 정속형(스탠다드) 방식1. 냉방 방식의 원리 차이정속형 에어컨은 말 그대로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면서 온도를 조절합니다.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컴프레서가 꺼지고, 다시 온도가 올라가면 켜집니다. 반면, 인버터 에어컨은 컴프레서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설정 온도를 유지합니다. 꺼지지 않고 강약을 조절하면서 일정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죠.2. 전력 소모 비교인버터 방식은 초반에는 강하게 냉방하지만, 이후에는 낮은 출력으로 유지 운전을 하므로 장시간 사용할수록 전기요금이 유리합니다. 반면, 정속형은 켜질 때마다 많은 전력을 소모하며, ON/OFF 반복이 많기 때문에 전력 피크가 높.. 2025. 7. 27.
냉장고 '성에 제거 기능'은 어떻게 작동할까? 기술 원리와 장점 정리 냉장고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냉동실에 성에(霜)가 하얗게 쌓이는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는 냉기 손실, 저장 공간 축소, 냄새 유발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그래서 최근 냉장고에는 성에 제거 기능(자동제상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데요, 이 기능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와 실제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성에가 생기는 원인냉동실 문을 열고 닫을 때 외부의 수분이 내부 냉기와 만나 응결되면서 성에가 생깁니다. 냉각기 표면에 수분이 얼어붙으면서 점점 쌓이게 되는 것이죠.2. 자동제상(Defrost) 기능의 작동 원리냉장고 내부에는 히터 또는 팬이 내장된 제상 장치가 있어, 일정 주기로 냉각기 부분의 온도를 올려 성에를 녹입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6~8시간 간격으로 진행되며, 응축수는 배수로.. 2025. 7. 24.
공기청정기 필터의 종류와 성능 차이, 교체 시기까지 정리!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심각한 요즘, 공기청정기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공기청정기의 핵심인 필터의 종류와 성능 차이, 그리고 교체 주기1. 프리필터 (Pre-filter)가장 앞단에 위치한 필터로, 머리카락, 반려동물 털, 큰 먼지 입자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물세척이 가능2. HEPA 필터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공기청정기의 핵심 필터로, 0.3㎛ 크기의 입자를 99.97% 이상 걸러냅니다. 초미세먼지, 꽃가루, 곰팡이 포자 제거에 탁월하며 알레르기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HEPA 필터는 물세척이 불가능하며, 6개월~1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3. 활성탄 필터 (Carbon Filter)냄새 제거와 유.. 2025. 7. 23.
인덕션 상판 유리가 깨지는 이유와 예방 방법 깔끔한 외형과 효율적인 조리 성능 덕분에 인덕션은 많은 가정에서 인기 있는 주방가전입니다. 하지만 종종 사용 중 상판 유리가 깨지는 사고가 발생해 사용자에게 큰 위험과 비용을 안기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인덕션 상판 유리가 깨지는 주요 원인과 예방을 위한 관리 요령을 소개합니다.1. 강한 충격무거운 냄비를 높이에서 떨어뜨리거나 날카로운 금속 도구로 상판을 강하게 누르면 유리 내부에 미세 균열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깨질 수 있습니다.2. 국지적 고온과 급냉팬을 과도하게 가열한 후 차가운 물을 부으면 급격한 열 변화로 인해 유리 내부에 팽창 응력이 발생해 파손될 수 있습니다.3. 냄비 바닥의 거친 표면거친 냄비 바닥이 상판과 마찰하며 미세한 흠집이 생기고, 장기적으로 균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4.. 2025. 7. 22.
반응형